티스토리 뷰
목차
작년과는 다르게 유난히 몸도 마음도 추운 겨울, 늘어가는 도시가스 요금은 큰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.
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‘도시가스 캐시백’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.
이는 난방비를 절약하면 추가적인 금전적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제도로, 많은 가구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가 무엇인지, 그리고 신청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난방비 절약과 캐시백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놓칠 수 없는 기회!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!
1.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란?
도시가스 캐시백은 동절기(12월~3월) 동안 도시가스 사용량을 절감한 가구를 대상으로, 절감한 양에 따라 현금으로 보상해 주는 제도입니다.
전년도 동기간 대비 사용량을 줄이면 그 절감률에 따라 캐시백이 지급됩니다.
구분 | 내용 |
대상기간 | 24년 12월 ~ 25년 3월 |
신청 가능 기간 | 24년 12월 1일 ~ 25년 3월 31일 |
지급 방식 | 절감율에 따라 차등 지급 |
온도 보정 | 기온 변화에 따른 자연 감소를 반영하여 정확한 절감량을 산정 |
예를 들어, 평균 기온이 전년 대비 1°C 상승하면 절감 기준도 5%에서 8%로 상향 조정됩니다.
2. 신청 대상과 제외 조건
도시가스 캐시백 제도는 주택난방용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가구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.
그러나 아래와 같은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신청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- 전출·전입, 명의 변경 등으로 사용량 확인이 어려운 경우
- 산업용, 업무난방용 등 주택난방용이 아닌 요금제 사용
- 계약자와 신청자 명의가 다르며 정보제공 동의서가 제출되지 않은 경우
- 고객식별번호가 부정확하여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
3.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
캐시백 신청은 간단한 절차를 통해 진행됩니다. 아래 단계를 참고하여 차근차근 따라 해 보세요.
- 사전 준비:
- 도시가스 고지서
- 계약자 정보제공동의서 (가입자와 계약자가 다른 경우)
- 온라인 신청: 한국도시가스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.
3. 도시가스 회원가입을 아래의 순서대로 따라 합니다.
1) 홈페이지 회원가입안내 버튼 클릭 ▶ 회원가입 버튼 클릭 ▶ 유의사항 확인
2) 개인회원 클릭 ▶ 이용약관 동의 확인 후 다음 버튼 ▶ 본인인증 버튼 클릭
3) 아이디,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 입력 ▶ 도시가스 고객정보 입력 ▶ 환급 계좌정보 입력 후 다음버튼 ▶ 확인(완료)
회원가입과 동시에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도 자동으로 완료됩니다.
4. 신청 및 주요 일정
구분 | 내용 |
신청기간 | 24.12.1 ~ 25.3.31 |
절감기간 | 24.12.1 ~ 25.3.31 (25.1월 ~ 4월 고지서 발행기준) |
비교기간(기준) | 23.12.1 ~ 24.3.31 (24.1월 ~ 4월 고지서 발행기준) |
절감량 산정기간 | 25년 5월 ~ 6월 |
장려금 지급시기 | 25.7월 ~ 8월 |
5. 도시가스 캐시백 지급
지급방식
절감에 성공했을 경우 신청자의 계좌로 장려금 지급시기에 현금 입금됩니다.
지급기준
전년도 동기간 대비 사용량을 3% 이상 절감 시 절감률에 따라 지급 단가가 결정됩니다. 절감률이 높을수록 캐시백 금액이 커집니다.
- 절감노력을 수반하지 않는 기온상승에 따른 자연감소에 대한 온도 보정계수 적용 예정
- ex) 동절기(12~3월) 기온이 전년 대비 1°C 상승 시 5% p 자연 감소되므로, 1°C 상승 시 8%로 기준 변경
산정 예시
24.12월 ~ 25.3월 사용량에 대하여 25.1월 ~ 25.4월 청구된 고지서 절감량을 계산하여 지급 (부피 단위)
- 비교기간 사용량(400㎥), 절감기간 사용량(340㎥), 절감량(60㎥)
- 절감률 = 60/400 = 15%
- 캐시백 금액 = 60( ㎥) x 100(원/㎥) = 6,000원
6. FAQ (자주 묻는 질문)
Q: 고객식별번호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?
A: 도시가스 고지서 상단 또는 ‘고객번호’ 항목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Q: 신청 결과는 어떻게 확인하나요?
A: 신청 후 1~2주 이내에 이메일 또는 문자로 결과를 통보받게 됩니다.
도시가스 캐시백 제도는 겨울철 난방비를 절약할 뿐 아니라 추가적인 금전적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.
지금 바로 신청하여 겨울철 가계 부담을 줄이고, 에너지 절약에도 동참해 보세요!
'라이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액 생계비 대출: 2025년 정부지원 대출 및 신청방법 총정리 (0) | 2025.03.11 |
---|---|
2025년 클린사업장 조성지원 사업 신청방법 (1) | 2025.01.15 |
노로바이러스와 굴: 장염 증상 및 예방법 (2) | 2024.12.18 |
디즈니 플러스 공포영화 추천 (스릴러, 고전 공포, 가족용 공포까지) (11) | 2024.12.16 |